가격협상에서 정찰제 가격표에 숨어 있는 놀라운 비밀
최종 수정일: 2022년 5월 2일
1. 영상에 대한 설명
이 영상은 가격협상에서 정찰제 가격표에 숨어 있는 놀라운 비밀에 대한 내용으로, 백화점이나 대형 가전제품(전자제품) 매장에 있는 세탁기, 냉장고, TV 노트북, 김치냉장고, 에어콘, 프린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나 전자제품, 침대, 가구, 매트리스, 책상 등 가구 등과 같이 가구 매장에 있는 가격표에 대한 내용으로, 판매자가 자신의 이익을 높이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가격표를 쓰는 지, 그 동안 소비자들이 어떤 식으로 호갱 취급 받았는 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이 영상은 제품을 살 때 가격을 깎을 수 있는 돈이 되는 know-how, 싸게 사는 법을 알려 주는 가격협상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영상입니다.
2. 영상과 관련된 내용
이 영상은 가격협상, 가격할인, 가격흥정, 협상스킬, 협상을 잘하는 법, 협상교육, 협상강사, 협상강의, 협상전략 등 협상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3. 영상 내용의 활용 분야
이 영상의 내용은 가격협상, 연봉협상, 부동산협상, 중고차 협상, 세일즈(영업)협상, 구매협상, 비즈니스협상, 돈이 되는 know-how ,협상, 설득, 협상하는 법, 협상교육,, 싸게 사는 법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관련 키워드
가격협상에서 정찰제 가격표에 숨어 있는 놀라운 비밀, 싸게 산 줄 알았는데 바가지 쓰고 호갱 되는 이유,싸게 사는 법,가격 할인,할인 가격,바가지,호갱,세일가격,바겐세일,백화점 세일, 협상전문가가 알려주는 가격협상의 꿀팁 노하우,협상TV,가격협상,협상,협상전문가,가전제품 싸게 사는 방법,가구 싸게 사는 방법,연봉협상 노하우,가전제품 싸게 사는법,가전제품 싼곳,가전제품 싸게,전자제품 싸게 사는법,전자제품 싸게 파는 곳,전자제품 싼곳,전자제품 싸게,가구싸게파는곳,가구싸게사는법,가구싼곳,부동산 가격 협상,싸게 사는 법,비행기표 싸게 사는 법,타이어 싸게 사는 법,가격협상 꿀팁,가격협상 노하우,싸게 사는법
*영상에 대한 설명
이 영상은 백화점이나 대형 가전제품(전자제품) 매장에 있는 세탁기, 냉장고, TV 노트북, 김치냉장고, 에어콘, 프린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나 전자제품, 침대, 가구, 매트리스, 책상 등 가구 등과 같이 가구 매장에 있는 가격표에 대한 내용으로, 판매자가 자신의 이익을 높이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가격표를 쓰는 지, 그 동안 소비자들이 어떤 식으로 호갱 취급 받았는 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이 영상은 제품을 살 때 가격을 깎을 수 있는 돈이 되는 know-how, 싸게 사는 법을 알려 주는 가격협상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영상입니다.
*영상 제목
매장 가격표 절대로 믿지 마라! 가격표 믿으면 당신은 호갱된다! 돈이 되는 know-how /협상, 설득, 협상전문가, 협상하는 법, 협상교육,,싸게 사는 법
<자막>
1
00:00:04,337 --> 00:00:07,474
안녕하세요. 협상전문가 김상철 박사입니다.
2
00:00:07,774 --> 00:00:09,342
반갑습니다.
3
00:00:09,676 --> 00:00:15,315
오늘 이 영상은 우리가 구매하는 상품에 붙어 있는 가격표에 대한 내용으로
4
00:00:15,915 --> 00:00:18,318
판매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높이기 위해
5
00:00:18,318 --> 00:00:21,888
어떻게 가격을 표시하는 지를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6
00:00:23,189 --> 00:00:26,426
앞으로 저희 협상TV에서는 여러분들이
7
00:00:26,926 --> 00:00:32,132
TV, 냉장고, 세탁기, 가구 등과 같은 제품을 구매할 때
8
00:00:32,132 --> 00:00:36,603
어떻게 해야지 가격을 더 많이 깎아 저렴하게 살 수 있는지
9
00:00:36,903 --> 00:00:40,273
다양한 가격협상 기법을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10
00:00:40,940 --> 00:00:46,980
이번 영상은 앞으로 설명할 가격협상 기법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내용이니까
11
00:00:47,280 --> 00:00:49,382
끝까지 시청해주시기 바랍니다.
12
00:00:54,654 --> 00:00:58,425
먼저 여러분들에게 제가 간단한 질문을 하나 드려보겠습니다.
13
00:00:58,992 --> 00:01:01,261
여러분들은
14
00:01:02,128 --> 00:01:05,765
대형 가전제품 매장이나 백화점 등에서 판매하는
15
00:01:05,765 --> 00:01:10,036
상품에 붙어 있는 가격표에 대해서 얼마나 믿으세요?
16
00:01:10,070 --> 00:01:17,710
다시 말해 그 상품에 표기된 가격이 적정가격이라고 믿냐는 얘기입니다.
17
00:01:18,311 --> 00:01:23,283
그리고 혹시 여러분들이 구매하는 상품의 원가가 얼마인지는 알고 있나요?
18
00:01:24,551 --> 00:01:28,388
아마 잘 모르실 겁니다.
19
00:01:28,455 --> 00:01:30,757
그리고 같은 제품이라도
20
00:01:30,857 --> 00:01:37,597
판매자가 가격을 표기하는 방법에 따라 소비자들은 더 비싸게 구매하고서도
21
00:01:38,031 --> 00:01:41,234
본인이 더 잘 샀다고 착각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22
00:01:42,502 --> 00:01:46,806
쉽게 말해 여러분들이 호갱취급 받는다는 말이죠.
23
00:01:46,806 --> 00:01:53,680
그럼 지금부터 우리가 구매하는 상품에 붙어 있는
24
00:01:53,680 --> 00:01:55,548
가격표에 숨어 있는 비밀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5
00:02:00,954 --> 00:02:05,125
우리는 나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신뢰도를 부여하고
26
00:02:05,125 --> 00:02:09,229
상대방에 대한 신뢰도 즉, 그 사람을 믿는 정도에 따라
27
00:02:09,662 --> 00:02:11,731
상대방에 대해 다르게 행동을 합니다.
28
00:02:12,432 --> 00:02:18,805
가령 평소에 믿음이 가는 친구나 직장 동료가 돈을 빌려달라고 하면 쉽게 빌려주지만
29
00:02:19,339 --> 00:02:24,477
믿음이 별로 가지 않는다면 돈을 빌려주지 않을 것입니다.
30
00:02:24,477 --> 00:02:27,680
은행은 이러한 신뢰도를 신용이라 부르고
31
00:02:28,081 --> 00:02:31,050
신용 점수가 높으면 대출을 잘 해주지만
32
00:02:31,284 --> 00:02:35,088
신용 점수가 낮으면 쉽게 대출을 해주지도 않고
33
00:02:35,488 --> 00:02:41,794
대출을 해주더라도 적은 금액만을 대출해주고 이자도 높은 금리를 적용을 합니다.
34
00:02:43,029 --> 00:02:46,866
이와 같이 우리는 주변 사람들 뿐만 아니라
35
00:02:47,367 --> 00:02:54,340
자신이 구매하려는 상품이나 그 상품을 파는 기업에게도 신뢰도를 부여합니다.
36
00:02:54,340 --> 00:02:59,579
뿐만 아니라 그 상품에 붙은 가격표에도 신뢰도를 부여하는데
37
00:03:00,013 --> 00:03:03,816
가격표에 적힌 가격을 얼마나 신뢰하느냐에 따라서
38
00:03:04,050 --> 00:03:07,887
그 상품을 살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하기도 합니다.
39
00:03:09,122 --> 00:03:11,457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40
00:03:11,457 --> 00:03:15,361
판매자가 (가격표에) 가격을 어떤 식으로 써넣느냐에 따라서
41
00:03:16,029 --> 00:03:22,035
그 상품 가격에 대한 신뢰도 나아가 그 상품 자체에 대한 신뢰도도
42
00:03:22,368 --> 00:03:24,103
달라지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43
00:03:25,271 --> 00:03:26,039
예를 들어
44
00:03:26,039 --> 00:03:29,909
같은 TV인데 A매장에서는 가격표를 210만원
45
00:03:30,643 --> 00:03:34,214
B매장에서는 가격표를 238만7천원으로
46
00:03:34,480 --> 00:03:37,283
서로 다르게 해서 가격표를 붙였다고 가정을 해보죠.
47
00:03:38,051 --> 00:03:40,787
여러분들이 손님이라면
48
00:03:40,787 --> 00:03:44,624
A매장의 210만원과 B매장의 238만 7천원 중
49
00:03:44,624 --> 00:03:48,461
어느 가격에 대해 더 신뢰, 즉 믿음이 갈까요?
50
00:03:49,996 --> 00:03:55,835
그리고 A,B매장의 가격 중 어느 매장의 가격이
51
00:03:55,835 --> 00:03:57,971
좀 더 적정한 가격이라는 생각이 들겠습니까.
52
00:04:00,873 --> 00:04:03,243
A매장의 210만원일까요?
53
00:04:03,243 --> 00:04:06,246
아니면 B매장의 238만 7천원일까요?
54
00:04:07,480 --> 00:04:10,750
당연히 B매장의 238만 7천원입니다.
55
00:04:11,517 --> 00:04:18,491
왜냐하면 B매장의 238만 7천원이 A매장의 210만원보다
56
00:04:18,491 --> 00:04:22,228
가격을 천원 단위까지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해서
57
00:04:22,328 --> 00:04:25,932
더 많은 가격 정보를 제공했다고 믿기(생각하기) 때문입니다.
58
00:04:27,200 --> 00:04:31,404
즉, 소비자들은 A 매장의 210만원보다
59
00:04:31,404 --> 00:04:33,840
B매장의 238만 7천원이
60
00:04:34,140 --> 00:04:37,677
더 많은 가격 정보를 제공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61
00:04:38,211 --> 00:04:44,584
소비자들은 B매장의 238만 7천원을 더 신뢰하게 됩니다.
62
00:04:44,584 --> 00:04:47,920
그리고 A매장의 210만원에 비해서
63
00:04:47,920 --> 00:04:52,558
B매장의 238만7천원이 천원 단위까지
64
00:04:52,592 --> 00:04:56,429
구체적으로 표기했기 때문에 원가를 좀 더 자세하게 반영한
65
00:04:56,429 --> 00:04:59,799
적정가격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66
00:05:01,734 --> 00:05:05,872
그런데 이때 이 TV의 가격이 다음과 같이
67
00:05:05,872 --> 00:05:07,674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을 해보죠.
68
00:05:07,674 --> 00:05:18,651
이 TV의 가격은 매입하는 원가,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그리고 판매자의 마진 등을
69
00:05:18,651 --> 00:05:20,687
모두 고려하면 200만원이 적정하지만
70
00:05:21,688 --> 00:05:25,358
A매장에서는 손님이 깎아달라고 했을 때를
71
00:05:25,358 --> 00:05:28,294
예상해서 10만원을 협상 여지로 남겨두어
72
00:05:28,628 --> 00:05:32,131
210만원 가격표를 붙여 놓았고
73
00:05:32,131 --> 00:05:35,101
B매장은 협상을 위한 금액으로
74
00:05:35,134 --> 00:05:41,307
38만 7천원을 덧붙여 가지고 238만 7천원짜리
75
00:05:41,307 --> 00:05:44,744
가격표를 붙여놓은 것입니다.
76
00:05:45,378 --> 00:05:46,946
이때 소비자들은
77
00:05:46,946 --> 00:05:52,185
이 TV의 적정 가격 200만원에 가격 협상을 위해서
78
00:05:52,251 --> 00:05:58,458
A매장에는 10만원, B매장에는 38만7천원을 얹어서
79
00:05:58,458 --> 00:06:00,993
포함시켜 놓았다는 사실을 전혀 모릅니다.
80
00:06:01,627 --> 00:06:04,230
당연히 알 수가 없죠.
81
00:06:04,230 --> 00:06:08,067
이러한 현상을 '정보의 비대칭성'이라고 합니다.
82
00:06:08,801 --> 00:06:12,605
정보의 비대칭성라는 것은 협상을 할 때
83
00:06:12,605 --> 00:06:15,441
협상대상 여기서는 이 TV가 되겠죠...
84
00:06:16,008 --> 00:06:19,812
이 협상 대상에 대해서 한 쪽이 다른 쪽보다
85
00:06:19,812 --> 00:06:22,849
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86
00:06:23,616 --> 00:06:27,420
지금 이 상황은 TV의 원가와 마진
87
00:06:27,420 --> 00:06:33,326
그리고 협상 여지로 추가한 10만원과 38만7천원에 대해서
88
00:06:33,693 --> 00:06:36,062
판매자는 자세히 알고 있지만
89
00:06:36,596 --> 00:06:39,732
이 TV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전혀 모르는
90
00:06:40,099 --> 00:06:46,939
비대칭 상황, 정보의 비대칭 상황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
91
00:06:46,939 --> 00:06:50,910
뿐만 아니라 여러분들이 집에서 사용하는 가구,
92
00:06:50,910 --> 00:06:59,018
지금 입고 있는 옷, 사용하는 핸드폰 타고, 다니는 자동차 식당에서 사 먹는 음식 등과 같이
93
00:06:59,285 --> 00:07:02,488
우리가 구매하는 대부분의 제품에 대해서
94
00:07:02,722 --> 00:07:09,061
이 판매자들은 그 원재료가 어떤 것이고 그 제품의 품질뿐만 아니라
95
00:07:09,295 --> 00:07:16,102
원가와 그 마진 등에 대해서 판매자들은 자세히 알고 있지만
96
00:07:16,102 --> 00:07:18,471
이를 구매하는 여러분들 즉, 소비자들은 자세히 모릅니다.
97
00:07:20,239 --> 00:07:27,480
특히 원재료나 품질 등은 제품의 포장지나 상품설명서에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98
00:07:27,980 --> 00:07:29,982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99
00:07:29,982 --> 00:07:35,555
하지만 가격'은 단지 판매하는 가격만 달랑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100
00:07:36,155 --> 00:07:42,862
원가나 판매자의 마진 등과 같은 구체적인 가격구조는 자세히 알 수가 없습니다.
101
00:07:44,030 --> 00:07:49,735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은 대부분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102
00:07:51,237 --> 00:07:54,807
자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 상황에서
103
00:07:55,274 --> 00:08:00,246
정보를 많이 가진 쪽 즉, 판매자들은 제품에 대해서 과장을 합니다.
104
00:08:01,080 --> 00:08:09,589
판매자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상품의 품질보다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질에 더 좋다.
105
00:08:09,589 --> 00:08:14,393
그리고 품질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하다고 과장을 하는 거죠.
106
00:08:16,863 --> 00:08:21,801
이와 같이 정보의 비대칭적 상황에서 정보를 많이 가진 쪽이
107
00:08:21,834 --> 00:08:25,171
과장을 하는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인력시장입니다.
108
00:08:26,405 --> 00:08:28,274
무슨 얘기냐 하면
109
00:08:28,274 --> 00:08:31,744
구직자들은 자기의 노동력을 파는 쪽이 되고
110
00:08:31,744 --> 00:08:35,181
기업은 그 구직자의 노동력을 구매하는 쪽이 되는데
111
00:08:35,681 --> 00:08:39,519
이때 구직자들이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112
00:08:39,852 --> 00:08:45,491
자기의 능력에 대해서 솔직하게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조금 과장을 하죠.
113
00:08:46,492 --> 00:08:49,896
즉, 구직자들은 자기의 단점은 감추고
114
00:08:49,896 --> 00:08:54,534
반대로 자기의 능력에 대해서는 과장을 하게 되는 거죠.
115
00:08:55,601 --> 00:09:00,840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자신의 단점을 솔직하게 다 말하는 바보는 아마 없을 겁니다.
116
00:09:00,873 --> 00:09:06,479
그리고 '저 일 잘 못해요'라고 이렇게 하는 사람도 없을 겁니다.
117
00:09:08,414 --> 00:09:12,351
다시 상품 구매로 돌아와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18
00:09:13,286 --> 00:09:20,893
이때 구매자들은 구매하려는 상품의 원가 구조와 상품의 품질을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119
00:09:21,227 --> 00:09:23,796
판매자의 말을 액면 그대로 믿질 않습니다.
120
00:09:25,298 --> 00:09:32,672
하지만 판매자의 말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확인할 방법도 달려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121
00:09:32,672 --> 00:09:35,474
이와 같이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122
00:09:35,775 --> 00:09:40,713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매하려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123
00:09:41,380 --> 00:09:46,352
구매자들이 사용하는 전략은 판매자들간에 경쟁을 시키는 겁니다.
124
00:09:47,753 --> 00:09:52,458
예를 들어, 구매자는 여러 판매자들 중에서
125
00:09:52,458 --> 00:09:55,428
어느 쪽이 가격이 싼 가? 어떤 게 더 좋은가?를 비교해서
126
00:09:55,461 --> 00:10:02,001
가장 유리한 조건, 즉 더 싼 가격을 제시하는 판매자의 제품을 구매하는 거죠.
127
00:10:03,202 --> 00:10:07,039
하지만 이것도 사려는 사람보다 판매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경우
128
00:10:07,039 --> 00:10:14,113
즉, 수요보다 공급에 더 많은 수요자 중심의 상황에서만 가능하고
129
00:10:14,580 --> 00:10:19,986
반대로 공급이 수요보다 적은 즉, 공급자 중심의 상황에서는
130
00:10:20,219 --> 00:10:22,555
이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131
00:10:23,923 --> 00:10:29,762
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은 공급자 중심은 상황을 독과점 상황이라고 하고
132
00:10:30,329 --> 00:10:34,200
이 때는 가격 결정권을 전적으로 판매자가 가지게 됩니다.
133
00:10:34,967 --> 00:10:38,070
그리고 정보의 비대칭 상황에서
134
00:10:38,571 --> 00:10:42,141
구매자들은 제품의 원재료와 품질 등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135
00:10:42,141 --> 00:10:49,849
가격을 제품의 품질이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136
00:10:50,549 --> 00:10:53,352
다시 말해서
137
00:10:53,352 --> 00:10:56,922
소비자들은 가격을 품질을 판단하는 지표로 생각해서
138
00:10:57,289 --> 00:11:00,593
가격이 비싸면 품질이 좋고
139
00:11:00,593 --> 00:11:03,329
가격이 싸면 품질이 좀 떨어질거라고 생각하게 되는 거죠.
140
00:11:04,930 --> 00:11:05,931
이와 관련해서
141
00:11:05,931 --> 00:11:08,734
재미있는 영상을 하나 보도록 하겠습니다.
142
00:11:13,773 --> 00:11:16,308
<font color=#D6EC41FF>4천원 커피가 맘에 들어요.</font>
143
00:11:16,575 --> 00:11:19,412
<font color=#D6EC41FF>2천원짜리는 신맛이 좀 더 강한 것 같은데요.</font>
144
00:11:19,478 --> 00:11:23,182
<font color=#D6EC41FF>4천원짜리는 그~ 커피향 자체에서 나는</font>
145
00:11:23,182 --> 00:11:26,285
<font color=#D6EC41FF>원두 향이 좀 더 깊게 난다고 그래야 되나요?</font>
146
00:11:27,386 --> 00:11:28,621
<font color=#D6EC41FF>음....</font>
147
00:11:28,621 --> 00:11:31,190
<font color=#D6EC41FF>동일한 커피였습니다. 예ㅜㅜ</font>
148
00:11:34,260 --> 00:11:38,531
<font color=#D6EC41FF>4천원 짜리 커피가 더 맛있는 것 같은데요.</font>
149
00:11:38,564 --> 00:11:41,300
<font color=#D6EC41FF>향이 좀 더 진하고요.</font>
150
00:11:41,300 --> 00:11:43,502
<font color=#D6EC41FF>음..제가 좀 좋아하는 스타일인 것 같구요.</font>
151
00:11:44,470 --> 00:11:47,039
<font color=#D6EC41FF>이 커피는 음...</font>
152
00:11:47,039 --> 00:11:49,208
<font color=#D6EC41FF>자꾸 손이 가게 되는 것 같애요</font>
153
00:11:49,642 --> 00:11:52,978
<font color=#D6EC41FF>사실은 동일한 커피예요..아!그래요? 어~</font>
154
00:11:56,849 --> 00:11:58,217
<font color=#D6EC41FF>4천원 짜리가 제가 먹기엔</font>
155
00:11:58,217 --> 00:11:59,452
<font color=#D6EC41FF>조금 더 편한 것 같거든요.</font>
156
00:11:59,452 --> 00:12:01,520
<font color=#D6EC41FF>부드럽거나 향이 오래가고</font>
157
00:12:01,520 --> 00:12:04,090
<font color=#D6EC41FF>제가 맛에 좀 민감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요</font>
158
00:12:04,090 --> 00:12:06,525
<font color=#D6EC41FF>쓴맛이 조금 덜 해서</font>
159
00:12:06,525 --> 00:12:10,229
<font color=#D6EC41FF>제가 보통 시럽이나 설탕을 안 섞어도 먹어도 될 만큼</font>
160
00:12:10,229 --> 00:12:12,198
<font color=#D6EC41FF>딱 알맞은..동일한 커피였습니다.</font>
161
00:12:12,198 --> 00:12:14,400
<font color=#D6EC41FF>아~ 흡~ ㅎ</font>
162
00:12:17,002 --> 00:12:18,771
잘 보셨나요?
163
00:12:18,771 --> 00:12:24,477
이 영상은 오래 전에 방송했던 맥카페의 광고 영상인데
164
00:12:24,910 --> 00:12:28,114
실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험한 영상입니다.
165
00:12:29,148 --> 00:12:32,251
영상에서 보신 것처럼 실험 참가자들은
166
00:12:32,251 --> 00:12:36,055
(실험참가자)모두.. 커피가 같은 커피임에도 불구하고
167
00:12:36,322 --> 00:12:42,962
가격이 더 비싸게 표시된 4천원짜리 표시(커피)가 더 맛있고, 좋다라고 응답을 했습니다.
168
00:12:44,730 --> 00:12:53,539
소비자들이 가격이 비싸면 품질도 좋을거라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실험 영상입니다.
169
00:12:54,974 --> 00:12:59,245
정리하면 (협상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서
170
00:12:59,311 --> 00:13:03,149
판매자들은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과장하고,
171
00:13:03,749 --> 00:13:08,154
구매자는 상품의 정보를 잘 모르기 때문에
172
00:13:08,154 --> 00:13:12,558
가격을 보고 상품의 품질을 판단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겁니다.
173
00:13:14,860 --> 00:13:18,097
다시 TV로 돌아와서 설명을 계속하겠습니다.
174
00:13:18,397 --> 00:13:21,901
그럼 이때 같은 TV의 가격을 A매장의 210만원과
175
00:13:21,901 --> 00:13:25,404
B매장을 238만 7천원으로 (다르게) 써 놓았을 때
176
00:13:28,974 --> 00:13:34,814
가격 협상의 결과가 어떻게 다르게 되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77
00:13:34,814 --> 00:13:39,285
첫째, 가격표를 238만 7천원으로하면
178
00:13:39,652 --> 00:13:44,356
210만원보다 가격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게 되어서
179
00:13:44,356 --> 00:13:48,427
소비자들이 TV를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180
00:13:49,461 --> 00:13:55,968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210만원과 달리 238만 7천원의 경우
181
00:13:55,968 --> 00:13:58,971
천원 단위까지 가격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182
00:13:59,104 --> 00:14:04,009
210만원일 때보다 (200만원은 실수 ㅜㅜ) 원가를 좀 더 정확하게 반영했다고 생각하게 되는 거죠.
183
00:14:04,677 --> 00:14:08,280
그래서 소비자들은 210만원일 때보다
184
00:14:08,314 --> 00:14:12,518
238만 7천원에서 더 많은 신뢰를 하게 되고
185
00:14:12,918 --> 00:14:15,621
TV를 구매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되는 거죠.
186
00:14:18,257 --> 00:14:25,331
둘째, 238만7천원이 210만원보다 가격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187
00:14:25,798 --> 00:14:29,602
원가를 제대로 반영한 적정가격으로 생각해서
188
00:14:30,035 --> 00:14:36,075
고객은 가격할인을 시도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189
00:14:36,442 --> 00:14:40,112
가격을 깎지 않고 가격에 붙은 금액 그대로 주고
190
00:14:40,112 --> 00:14:43,182
살(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말이죠.
191
00:14:43,849 --> 00:14:46,318
여긴 정찰제 매장이니까 원래 가격 깎는 거 아냐</font>
192
00:14:46,318 --> 00:14:49,655
이렇게 말하면서 말이죠.
193
00:14:51,757 --> 00:14:57,963
세 번째, 고객의 입장에서는 가격 할인을 시도하려고 하더라도
194
00:14:58,330 --> 00:15:04,803
210만원일 때보다 238만 7천원일 때 가격 할인을 요구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195
00:15:06,071 --> 00:15:12,111
210만원은 가격이 크게 200만원과 10만원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