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상교육은
협상전문가에게
건설현장관리 협상 과정(8H)

-
토목, 건축, 플랜트 등의 건설현장 공무담당자, 현장 소장 등 현장관리자
-
건설 현장에서 협상의 중요성과 활용범위를 인식한다.
-
지역주민과의 마찰 최소 및 민원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협상력을 키운다.
-
협력업체, 관할 관청, 설계감리사 등 현장관계자들과의 협상 역량을 키운다.
-
발주처와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협상력을 키운다
-
토목, 건축, 플랜트 등의 건설현장관리를 위한 협상교육 프로그램
-
사전 조사를 통해 도출한 교육생들의 직무를 분석한 한 후 교재 개발 및 교육 진행
-
My Case 협상 실습 등 건설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현업 중심의 협상 교육프로그램
M1.건설현장관리 협상의 기본적 이해
• 협상의 개념과 필요성
• 건설협상의 유형
- 토목, 건축, 플랜트
- 발주처의 공사 변경 요구, 물가 상승으로 인한 ESC
- 협력업체 공종간 조정, 기성, 공사범위 및 일정 등
- 대관의 인허가 관련, 감리와의 마찰, 공사 민원 등
• 건설협상 관계자의 종류와 역할
- 본사 관계자, 발주처 및 협력업체, 감리 담당자, 담당 공무원
- 지역 주민, 지역 언론, 지역 정치인 및 환경관련 단체 등
<학습 방법>
강의, 동영상 시청
1:1 협상실습
M2. 건설협상의 준비
• 협상 실행 여부 판단(판단 기준 4가지)
• 현장 소장 및 공무 담당자의 협상 권한과 본사와의 조율
• 협상 대안 개발(공사 변경, ESC, 공종간 조정, 민원, 감리,
인허가 등)
• 민원 협상의 구조와 특수성, 그리고 협상 위임 관계
<학습 방법>
강의
동영상 시청
팀토론
M3. 건설협상의 전략 수립
• Win(건설사) – Win(상대방) 전략
• Win(건설사) – Lose(상대방) 전략
• Lose(건설사) – Win(상대방) 전략
• 회피전략
<학습 방법>
강의, 동영상 시청
사례 분석
개인 실습
M4. 건설 협상의 실행 및 과정 마무리
• 정보 교류와 협상 의제의 확인
• 제안스킬
• 조정 및 양보
• 현업 적용 Plan 작성
• 과정 Wrap up
<학습 방법>
강의, 동영상 시청
My Case 1:1 협상 실습
현업 적용 협상 Plan 작성